목차
● 머리말
제1장 몸과 교육: 생태론적 교육이해의 조건
1. 몸과 교육
2. 귀신론(貴身論 혹은 重生論)
3. 보신론(保身論 혹은 養生論)
4. 수신론(修身論 혹은 敬身, 正身論)
5. 치체론(治體論 혹은 正心論)
6. 안신론(安身論 혹은 愛身論)
제2장 학습의 진화: 생태론적 관점
1. 문제제기: 學而時習 不亦熱乎!
2. 배움에 대한 생각의 현대성
3. 현대 심리학과 교육학의 반성
4. 학습(배움)론에 대한 담론의 진화
5. 학습(배움)론의 유용성
제3장 주자학의 탈주(脫朱): 인문에서 생태로
1. 서론: 교육이해 지평의 확대
2. 미수(眉) 유학사상의 교육생태론적 재구성
3. 생태론적 교육론: 교육학의 통섭(統攝)
제4장 실학(實學): 전통에서 모던한 배움으로
1. 배움에 대한 생각의 진화
2. 실학의 학설을 조직교육학으로
3. 생각할 거리: 실학 배움론의 현대적 함의
4. 다시 실학으로부터
제5장 기학(氣學): 생존에서 생명으로
1. 기학이란 무엇인가?
2. 기학의 생태론적 교육사상
3. 생명, 생태의 교육으로
제6장 교육의 인간화: 교육생태의학
1. 전통 교육학의 재구성
2. 학습의학
3. 학생 정신의학
4. 학교 보건의학
5. 교육생태의학 성립의 가능성과 한계
제7장 평생학습도시 정책의 교육생태론적 검토
1. 문제제기: 배움의 강요?
2. 평생-학습-도시의 의미연관성
3. 평생학습도시 정책의 교육생태론적 반성
4. 평생학습, 생존(소유)이냐 존재냐?
제8장 루소의 에밀 프로젝트: 청소년과 생명
1. 루소 그리고 에밀
2. 루소의 교육이데아: 마음의 습관
3. 정념(情念)의 발생과 동요
4. 에밀 프로젝트: 정념을 교육시키는 방법
5. 생태적인 청소년 성교육의 가능성
●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