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장 기독(목회)상담, 무엇이 다른가
1. 임상의 과정 중에 드러나는 신학: 버려야 할 환상들
2. 신앙고백적 신학과 작용적 신학
3. 작용적 신학 찾기: 신학이 심리학을 만났을 때
4. 작용적 신학 안에 있는 우상: 그 심리학적 이해
5. 기독(목회)상담의 방법론적 정체성: 신들 간의 맞대경
6. 나가는 말
제2장 초기 상담, 어떻게 할 것인가
1. 공감에 대한 정신분석적 이해와 비판
2. 초기 상담부터 시작되는 공감: 내담자에 대한 감정적 이해
3. 공감에 대한 신학: 성육신의 임상적 이해
4. 공감적 이해와 구별되어야 할 것: 자기노출, 일반화, 자의적 독심법
5. 공감적 이해의 세 단계
6. 나가는 말
제3장 내담자, 어떻게 이해할까
1. 종교적 감정의 기원에 대한 임상적 성찰
2. “내가 벗었으므로 두려워하여 숨었나이다” 종교적 감정으로서의 수치심
3. 사례를 통해 본 죄책감, 수치심, 그리고 ‘신과 인간의 만남’의 의미
4. 수치의 원형으로 오신 그리스도: 임상 현장에서의 하나님 형상
5. 나가는 말
제4장 변화는 어떻게 이루어지나
1. 회심의 심리학과 회개의 신학의 만남
2. 기독(목회)상담의 회개 모델: 인간 변화 이해의 제한점
3. 지정의적인 회개: 체계적인 재구성
4. 루이스 람보의 회심 모델: 체계적 단계 이론
5. 기독(목회)상담사를 위한 변화 이해: 체RP적 접근
6. 나가는 말
제5장 슈퍼비전 어떻게 할 것인가
1. 신학방법론의 변천: ‘있음’에서 ‘앎’으로 그리고 ‘삶’으로
2. 목회신학의 발전: 1차, 2차, 3차 신학과의 만남
3. 기독(목회)상담의 슈퍼비전의 목회신학적 원리와 구성
4. 목회적 사건(사례) 보고 목차: 임상신학적 성찰
5. 나가는 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