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우리는 신경다양성 커플일까요
ADHD를 포함한 독특한 사람들의 관계 맺기 |
| 저자 | Lorna Hecker |
| 역자 | 성주연, 양호연 |
| 판형 | 신국판 |
| 제본 | 반양장 |
| 페이지 | 216p |
| ISBN | 978-89-997-3581-3 03180 |
| 발행일 | 2026-01-15 |
| 정가 |
16,000원
|
| E-BOOK 정가 | 16,000원 |
|
| 책소개 |
책요약(저자작성) |
목차 |
저자/역자소개 |
PPT/도서자료 |
신경다양성은 미국과 유럽에서는 이미 활발하게 논의되고 있는 개념이지만, 국내에서는 아직 많은 사람에게 생소한 주제입니다. 특히 커플 관계 맥락에서 신경다양성이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논의는 거의 없는 실정입니다. 이 책은 바로 그 지점을 깊이 있게 다루고 있습니다. 번역 과정에서는 원문의 문화적 맥락이나 표현이 자연스럽지 않은 경우 영어 원문을 병기하여 독자의 이해를 돕고자 했습니다.
이 책은 신경다양성을 결함이나 병리로 보지 않고 ‘다름’으로 바라보며 연결 가능성에 주목합니다. ADHD와 같은 신경다양성이 관계 안에서 어떤 어려움을 만들어 내는지뿐 아니라, 그것이 어떻게 강점이 될 수 있는지를 구체적인 사례를 통해 풀어냅니다.
이 책은 신경다양성 커플뿐만 아니라 신경다양성을 가진 자기 자신을 더 깊이 이해하고 싶은 이들, 그리고 그들을 사랑하는 파트너, 부모, 자녀, 가족, 친구에게도 큰 도움이 되리라 믿습니다. 또한 오늘도 관계 회복을 위해 애쓰는 많은 상담사에게도 신경다양성 커플과 가족을 만나는 데에 유용한 도구로 사용되기를 바랍니다. |
|
| 책소개 |
책요약(저자작성) |
목차 |
저자/역자소개 |
PPT/도서자료 |
| 책소개 |
책요약(저자작성) |
목차 |
저자/역자소개 |
PPT/도서자료 |
추천사 1
추천사 2
역자 서문
감수를 마치고
01 우리는 서로 다른 행성에서 왔을까
신경다양인 또는 신경전형인은 어떤 의미인가
정상성은 사회적으로 만들어진 개념이다
신경다양성과 장애인 차별주의에 맞선 저항
ND=신경다양인, NT=신경전형인
신경다양성을 이해하면 나의 관계에 어떤 도움이 될 수 있을까
이 책을 쓰게 된 이유
겹치는 뇌 작동 방식
추격자-도망자 커플의 패턴
신경다양성 안의 다양한 스펙트럼
왜 이 책을 읽어야 할까
02 서로 다른 궤도에서 함께 살아가기
공동 관심
생일, 기념일 및 기타 재난들
감정적 상호성
마음이론
03 초집중과 특별한 관심사들…… 슈퍼파워인가 아니면 치명적인 약점(Kryptonite)인가
초집중
특별한 관심사들
04 소통하기: 수용언어와 표현언어의 차이
문자 그대로 해석하기
사회적 규칙 이해하기
외계인 vs. 스몰토크
말 끊기
감정이라는 낯선 공간
감정표현불능증
05 신경다양성과 감각 문제
촉각 시스템(촉각 민감도)
청각 시스템(소음 민감도)
후각 시스템(냄새 민감도)
시각 시스템(시각 민감도)
미각 시스템(맛 민감도)
미묘한 감각 시스템
감각 문제가 관계에 미치는 영향
흔히 ‘멘탈붕괴’로 알려진 감정 조절 장애
자기자극행동
눈 맞춤
감각 민감성이 미치는 영향: 샤워, 성관계 그리고 양치질이 어려운 이유
샤워
성관계
양치질
화장실에서 나오기는 할 거야???
06 블랙홀- 정신적 유연성과 ‘흑백논리적 사고’
인지적 유연성
정서적 유연성
성향적 유연성
공정성과 정의에 대한 강조
전환
이상언행반복증
사회적 가면쓰기와 “하지만 우리가 처음 만났을 때는…….”
07 시간- 공간 연속체: 실행 기능의 문제
집중하기: 정신차려요……
시간 감각 상실
계획 수립, 일정 관리 및 조직화
기억력과 전반적인 학습 문제
충동성
08 낯선 세상에서 살아가기 - 불안, 우울과 정서적 후유증
전반적인 불안
사회 불안
업무 마비
반복적인 행동
신경전형적 세상에서 살며 겪는 트라우마/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진단을 받을 것인가, 말 것인가
정신 건강 문제와 신경전형인 파트너
09 누가 이 배의 선장인가 - 신경다양성 관계에서 힘겨루기
신경전형적 제국주의
항상 옳다고 하는 태도
10 서로에게 다가가기 - 친밀함을 향한 여정
신경다양성 관계에서 흔히 나타나는 패턴
성 정체성과 성적 지향의 다양성
물질 남용 및 중독
상호 의존
신경다양성 관계에서의 번아웃……, 이 행성에서 탈출해도 될까
번아웃과 신경전형인 파트너
번아웃과 신경다양인 파트너
사회적으로 인정받지 못하는 비통함
왜 상대방의 궤도에 합류해야 할까
용어풀이
도움이 되는 자료
참고문헌
|
| 책소개 |
책요약(저자작성) |
목차 |
저자/역자소개 |
PPT/도서자료 |
| 책소개 |
책요약(저자작성) |
목차 |
저자/역자소개 |
PPT/도서자료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