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은 총 13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이 책의 전반부에서는 가족치료의 근간이 되는 체계론에 대한 이해를 돕고, 가족치료발달사의 이해를 통해 가족치료의 전문성의 발달과 한국가족치료의 발달에 대한 이해를 돕고 있다.
2. 이 책은 전통적 가족치료 모델로서 다세대정서체계 가족치료모델, 경험적 가족치료모델, 구조적 가족치료모델 그리고 탈근대주의 가족치료 모델로서 해결중심치료 모델과 이야기치료 모델을 이론과 함께 실제 사례를 소개하고 있다.
3. 마지막 부분에서는 가족상담의 전망과 과제로 사회적 변화에 따른 가족상담의 역할과 윤리적 과제를 논의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