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본 도서

top

알림

X

알림

X

알림

X

로그인 회원가입

아동과 또래관계
도덕성, 편견, 집단 정체성과 관련한 사회적 배제를 중심으로
저자Melanie Killen, Adam Rutland
편저자 이승하
역자 이승하, 이해민, 신나은
판형 크라운판
제본 반양장
페이지 280p
ISBN 978-89-997-3512-7 93370
발행일 2025-09-15
정가 20,000원
책소개 책요약(저자작성) 목차 저자/역자소개 PPT/도서자료

발달심리학자인 Melanie Killen과 사회심리학자이자 발달심리학자이기도 한 Adam Rutland는 이 책을 통해 사회적 배제와 따돌림에 대한 독창적인 관점을 소개한다. 이 책은 사회적 배제가 언제, 어디에서 기인하여 발생하게 되는지 다루는데, 특히 사회적 배제를 개인의 차원이 아닌 집단의 차원에서 접근한다. 두 저자는 도덕성과 사회관습의 영역이 서로 별개로 발달한다는 사회 영역 이론의 관점에서 사회적 배제를 다룬다. 이러한 관점에서 영유아기에도 특정한 위반 행동이 도덕적 영역에 속하는지, 아니면 사회관습적 영역에 속하는지 구분할 수 있으며, 어느 영역을 우선시하는가에 따라 사회적 포함과 배제가 발생하거나 정당화될 수 있다는 점을 설명한다. 저자들은 여러 이론을 바탕으로 유아, 아동, 청소년들 사이의 미묘한 상호작용에 대한 심도 있는 이해와 통찰을 제공함으로써 사회심리학, 발달심리학의 통합적 접근을 시도한다. 특히 사회 정체성 발달 이론과 주관적 집단 역학의 발달 모델을 제기하며 이를 사회 영역 이론과 접목시킨 방식은 흥미롭다.

이 책은 총 9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영유아기 도덕성의 출현에서 시작하여, 이 책을 관통하는 세 가지 개념인 도덕성, 집단 정체성, 편견을 사회적 배제와 관련짓는다.




책소개 책요약(저자작성) 목차 저자/역자소개 PPT/도서자료

※ 책 요약 준비 중




책소개 책요약(저자작성) 목차 저자/역자소개 PPT/도서자료

목차 PDF파일

역자 서문
편집자 서문
서문

제1장 들어가며: 아동기의 배제(exclusion)와 포함(inclusion)
사회적 인지, 사회적 관계, 그리고 배제에 관한 이론
배제의 유형
이 책의 목적
요약

제2장 아동기 도덕성의 출현
아동기의 도덕성
도덕성이 아닌 것
도덕성의 기준, 정의 및 측정
판단, 정서, 개인, 집단을 포괄하는 도덕성
도덕적 판단의 사회적 전조
아동기의 도덕적 판단과 상호작용
정의로서의 도덕
사회적·도덕적 판단에 대한 사회 영역 이론
도덕의 보편성
다양한 사회적 개념과 도덕성: 다면적인 사건들에 대하여
도덕성과 마음 이론
도덕성과 사회인지 발달
요약

제3장 사회적 범주화와 편견의 출현
편견의 전조로서의 사회적 범주화
유아기의 명시적 편향
편견 발달에 대한 인지 발달적 접근
암묵적 편향의 발달
암묵적 편향과 판단 및 행동의 관계: 이것은 편견인가
요약

제4장 집단 정체성과 편견
집단 정체성은 좋은가? 나쁜가?
사회 정체성 이론
사회 정체성 발달 이론
사회적 마음 이론과 편견의 통제
도덕 규범 혹은 집단 규범과 편견의 통제
편견 통제의 기본 과정
주관적 집단 역학 발달
도덕성과 집단 정체성
요약

제5장 또래관계와 또래배제에 대해 우리가 알고 있는 것
개인 내, 개인 간 배제: 사회적 특성과 개인차
집단 내, 집단 간 배제: 내집단/외집단 정체성
사회적 추론과 배제
유아기의 성별에 따른 배제: 괜찮은가? 그렇지 않은가?
성별, 인종에 기반한 배제: 집단 목표와 자격
소수 인종 집단 및 다수 인종 집단에 속한 아동·청소년의 배제에 대한 인식 면담
청소년의 배제에 대한 사회적 추론: 군중, 무리, 그리고 네트워크
성적 편견에 대한 사회적 추론
인종 간 만남에서의 배제: 점심 식사, 생일 파티, 데이트
가족 맥락에서 성별에 따른 배제: 부모역할 기대에 대한 아동의 인식
요약

제6장 집단 내 배제와 집단 간 배제: 심층 연구
집단 역학: 배제 맥락에서 집단의 개념
집단 역학: 집단 정체성, 집단별 규범, 영역별 규범
집단별 규범
사회 집단에서의 일탈
집단 정체성
아동기 집단 정체성에 관한 시사점
요약

제7장 전 세계의 또래배제와 집단 정체성: 문화의 역할
배제의 문화적 맥락
오랜 기간 지속된 집단 간 문화 갈등
해결하기 어려운 폭력적 갈등이 있는 문화들
최근의 이민자 집단
토착민 집단을 기반으로 한 집단 간 배제
요약

제8장 포용의 증가, 편견의 감소와 도덕성의 증진
집단 간 접촉과 편견의 감소
집단 간 접촉과 아동
집단 간 우정과 편견
집단 간 접촉과 소수 지위의 아동
집단 간 접촉을 통한 암묵적 편향의 감소
확장된 집단 간 접촉을 통한 편견의 감소
대중매체를 통한 포용의 촉진
집단 간 접촉과 아동의 도덕적 추론 증진
다문화교육과 사회적 배제
아동기 편향을 감소시키는 요인
요약

제9장 도덕성, 편견, 집단 정체성의 통합: 사회적 배제에 대한 새로운 관점
또래관계에 관한 이론
사회적 배제에 관한 이론
능동적 참여자로서의 아동
판단, 신념, 태도, 정서 귀인 및 행동
편견과 배제에 대한 암묵적 및 간접적 측정
사회적 배제에 대한 통합적 사회-인지 발달 관점
포용을 촉진하는 사회적 경험 요인
배제와 편견
요약


참고문헌
찾아보기



책소개 책요약(저자작성) 목차 저자/역자소개 PPT/도서자료

로그인을 하신 이후에 이용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책소개 책요약(저자작성) 목차 저자/역자소개 PPT/도서자료

로그인을 하신 이후에 이용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관련분야 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