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의 차례에서 명확히 구분하지는 않지만, 자기결정의 정의 및 중요성(제1장), SDLMI의 핵심 구성요소(제2장), SDLMI에 대한 연구(제3장)를 다루고 있는 1부와 이를 토대로 SDLMI의 실제적인 실행 방법을 제시하고 있는 2부로 나눌 수 있습니다. 특히 장애 학생과 비장애 학생을 포함한 모든 학생의 자기결정 증진을 위한 SDLMI의 실행을 위해 SDLMI 평가(제4장), 다층지원체계 내 SDLMI(제5장), 문화적으로 지속가능한 SDLMI 실행(제6장), 그 외 통합 환경(제7장) 및 전환계획(제8장)에서의 SDLMI 실행과 복합적 의사소통 요구를 가진 사람을 위한 SDLMI(제9장), 지역사회 및 가상 환경에서의 SDLMI(제10장)와 SDLMI 실제의 미래 방향(제11장)을 다루고 있습니다. 따라서 이 책은 독자들이 자기결정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뿐만 아니라 통합학급이나 지역사회에서 장애 및 비장애 청소년과 성인의 자기결정을 증진하기 위해 SDLMI를 실행하는 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