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은 교사의 직무 수행에 필요한 실제적인 내용을 다루고, 아울러 교육이론과 교육현장을 연결하기 위한 교직실무의 본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초판에서 구상된 4부 12장 체계를 유지하였다. 그러나 실제적인 내용에서는 거의 모든 장에서 수정·보완되었다. 그 중에서도 제2부 ‘수업교사로서의 삶’, 제3부 ‘담임교사로서의 삶’, 제4부 ‘조직구성원으로서의 삶’에서 상당 부분이 바뀌었다. 제2부 ‘수업교사로서의 삶’에서는 오늘날 학교 현장에서 학교 교육과정 편성 및 운영이 매우 중요시되고 있기 때문에 이를 반영하여 각각을 독립적인 장으로서 다루었다. 특히 제3장 ‘학교 교육과정과 평가 활동’에서 학교 교육과정의 편성 및 운영, 성적 및 평가관리 등을 보다 깊이 있게 설명하였다. 제3부 ‘담임교사로서의 삶’에서는 여러 장에 걸쳐서 내용을 크게 보완하였다. 제5장 ‘학급경영’에서는 민주적인 학급경영에 대한 중요성을 고려하여 민주적인 학급경영의 실제에 대한 논의를 강화하였다. 제6장 ‘학생의 삶과 문화’에서는 학생 문화를 보다 폭넓게 이해하고 이에 대처하기 위한 교육적 접근방법을 아울러서 학생 삶의 이해, 학생을 둘러싼 환경요소, 학생문화의 특징, 교육적 대응 및 접근 등을 다루었다. 제7장 ‘학교안전생활’에서는 학생 안전교육과 학생 안전사고에 관련된 학생 생활지도 및 안전교육, 학생 안전사고의 이해, 학교안전공제회 등을 종합적으로 살펴보았다. 제4부 ‘조직구성원으로서의 삶’에서는 제12장 ‘학부모와 지역사회교육’에서 학부모와 교육, 학부모의 학교교육 참여, 학부모 상담, 지역사회와 학교 등을 다룸으로써 학부모와 지역사회 교육에 대해서 보다 체계적으로 다루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