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본 도서

top

알림

X

알림

X

알림

X

로그인 회원가입

한국의 교직과 교사 탐구
저자박영숙, 고전, 김병찬, 김이경, 박남기, 박상완, 신현기, 신현석, 유형근, 이윤식, 이차영, 임승렬, 전제상, 정바울, 진동섭
편저자 한국교원교육학회
판형 4x6배판
제본 반양장
페이지 480p
ISBN 978-89-997-1596-9 93370
발행일 2018-08-30
정가 22,000원
E-BOOK 정가 22,000원
책소개 책요약(저자작성) 목차 저자/역자소개 PPT/도서자료
  이 책은 한국의 교원교육학에 입문하고자 하는 후속 세대를 위해 발간된 학술 전문 서적이다. 2007년 전문서적 『교직과 교사』를 발간한 지 10년이 넘어 교직 환경의 변화와 교원교육에 관한 최근 연구 동향을 반영한 새로운 전문서가 필요하다는 요구가 있었고,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대응해야 할 시대적 과제가 무엇인지 탐구해야 할 필요가 있어 이 책을 출간하게 되었다.
  이 책은 교직과 교사를 주제로 하여 교직과 교사에 관한 기본 내용과 교직과 교사에 관한 현재 이슈, 그리고 교직과 교사의 미래 전망에 대해 총 3부 14장으로 구성되었다. 제1부 ‘교직과 교사 기초’에서는 교직관과 교사상, 교사의 역할과 자질, 교사의 법적 지위 보장과 제한, 목적형 교사양성과 개방형 교사양성을 다루고 있다. 제2부 ‘교직과 교사 이슈’에서는 대학원 수준에서의 교원양성, 교원 신규채용과 임용시험, 학생의 학습권과 교사의 교권, 전문적 학습공동체, 교원평가제도의 쟁점과 과제, 교사 스트레스와 소진 및 회복, 교장 승진제도와 교장 공모제도, 특수교육과 일반교육의 통합, 유아교육 공영화: 유아교육과 보육의 통합을 다루고 있다. 그리고 제3부 ‘교직과 교사 미래전망’에서는 교원 역량 개발을 위한 도전과 과제, 미래 교직사회의 변화 전망과 교원정책 이슈를 다루고 있다.



책소개 책요약(저자작성) 목차 저자/역자소개 PPT/도서자료

※ 책 요약 준비 중




책소개 책요약(저자작성) 목차 저자/역자소개 PPT/도서자료
머리말


제1부 교직과 교사 기초

제1장 교직관과 교사상
Ⅰ. 서론
Ⅱ. 교직관
  1. 교직관
  2. 교직의 특성과 전문직성
Ⅲ. 교사상
  1. 교사교육 관점이 상정한 교사상
  2. 학교경영 이론이 상정하는 교사상
  3. 교사의 전문성
Ⅳ. 한국의 교직관과 교사상
  1. 한국의 교직관
  2. 한국의 교사상
  3. 한국의 교직관과 교사상의 특징
Ⅴ. 미래의 교직관과 교사상

제2장 교사의 역할과 자질
Ⅰ. 교사에 대한 기대
Ⅱ. 교사의 직무
  1. 법규적 접근으로 본 교사의 직무
  2. 과업적 접근으로 본 교사의 직무
Ⅲ. 교사의 역할
Ⅳ. 교사의 자질 및 역량
Ⅴ. 맺는말

제3장 교사의 법적 지위 보장과 제한
Ⅰ. 교사의 법적 지위의 의미와 보장
  1. 교사, 지위 및 법적 지위란
  2. 교사의 법적 지위 개념 설정
  3. 「헌법」상의 교원 지위 법정주의 보장
Ⅱ. 교사의 신분: 법적 지위 형식론
  1. 국·공립학교의 교사의 신분: 교육공무원(특정직 국가공무원)
  2. 사립학교의 교사의 신분: 사인(私人: 계약근로자)
  3. 교원 신분 지방공무원화에 대한 논의
Ⅲ. 교사의 권리·의무·책임: 법적 지위 내용론
  1. 교원의 기본적 지위에 관한 규정: 「교육기본법」
  2. 교사의 권리보장: 신분·재산상의 권리와 교권 보호
  3. 교사의 의무 부담: 국가공무원의 복무규정
  4. 교사의 책임 부과: 징계양정 및 안전사고 책임
  5. 특별한 권리와 의무 및 책임과 최근의 입법 동향
Ⅳ. 교사의 기본권 제한
  1. 교육의 자유와 제한: 교육과정 및 교과서와 교사
  2. 근로기본권의 제한: 교직단체 이원화 상황에서의 교사
  3. 정치적 기본권의 제한: 민주시민교육과 교사
  4. 교사의 공직자로서의 지위 및 전문가로서의 지위의 미래

제4장 목적형 교사양성과 개방형 교사양성
Ⅰ. 교사양성의 의미와 현황
  1. 교사양성의 의미와 중요성
  2. 교사양성의 관점
  3. 교사의 양성 현황
Ⅱ. 교사양성 방식의 종류
  1. 목적형 교사양성
  2. 개방형 교사양성
Ⅲ. 교사양성체제의 개편 배경과 방향
  1. 개편의 배경
  2. 개편 방향


제2부 교직과 교사 이슈

제5장 대학원 수준에서의 교원양성
Ⅰ. 서론
Ⅱ. 대학원 수준 교원양성과 관련된 기존의 논의
Ⅲ. 교원양성체제 개편의 쟁점과 방향
  1. 교원양성체제 개편 방향 관련 쟁점
  2. 교원양성체제 개편 원리 및 방향
Ⅳ. 대학원 수준 교원양성 방안
  1. 대학원 수준 교원양성의 필요성
  2. 기존 선행연구의 대학원 수준 교원양성(교육전문대학원) 도입 방안
  3. 대학원 수준 교원양성(교육전문대학원) 설치 모형
Ⅴ. 교육전문대학원 설치·운영을 위한 제도 정비 방안
  1. 교육전문대학원 설치 인가제
  2. 교원 임용 및 자격 체계와의 연계
  3. 교육전문대학원 교육과정(콘텐츠) 개발
  4. 학제 개편과 병행
  5. 기계적 양성-임용 비율 규정 경계
  6. 교원에 대한 처우 개선 문제와의 연계
Ⅵ. 결론

제6장 교원 신규채용과 임용시험
Ⅰ. 서론
Ⅱ. 교원 신규채용제도의 이론적 기초
  1. 교원 임용과 신규채용제도의 개념적 관계 및 의의
  2. 교사 신규채용 방법으로서 임용시험의 기능과 중요성
  3. 교원 임용시험의 변천
Ⅲ. 교원 임용시험의 주요 내용
  1. 초등교원 임용시험
  2. 중등교원 임용시험
Ⅳ. 교원 임용시험의 문제점
  1. 교원 수급 불일치 및 불완전한 중장기적 수급예측으로 인한 문제
  2. 교원 임용시험 방식 자체의 적합성에 대한 의문
  3. 교원 임용시험 관리 및 주체와 관련된 문제
  4. 교원 임용시험과 교원양성 교육과정 간의 괴리로 인한 문제
Ⅴ. 교원 신규채용 및 임용시험 제도 개선을 위한 과제
  1. 신규교사 채용 규모 예측 가능성 증대를 위한 수급 예측 시스템 정립
  2. 교원 임용시험 방식 및 내용의 혁신
  3. 교원 임용시험 관리 방식 및 주체의 전환
  4. 교원양성교육 정상화를 위한 양성과 임용의 연계

제7장 학생의 학습권과 교사의 교권
Ⅰ. 서론
Ⅱ. 학습권과 교권의 정체
  1. 학습권의 정체
  2. 교권의 정체
  3. 종합 논의
Ⅲ. 학습권과 교권의 관계
  1. 호응관계
  2. 갈등관계
  3. 무관계
  4. 종합 논의
Ⅳ. 학습권과 교권의 관계를 통해서 본 교원교육의 시사점
  1. 학습권을 통한 교권의 확립
  2. 학습권을 위한 교권의 행사
  3.‘ 교수에 대한 학습’을 통한 학습권의 이해
  4‘. 학습에 대한 교수’를 통한 학습권의 보호·신장

제8장 전문적 학습공동체
Ⅰ. 서론
Ⅱ. 전문적 학습공동체의 기원
Ⅲ. 전문적 학습공동체의 개념과 유형
  1. 전문적 학습공동체의 개념
  2. 전문적 학습공동체의 유형
Ⅳ. 전문적 학습공동체의 내적·외적 도전
  1. 전문적 학습공동체의 외적 도전
  2. 전문적 학습공동체의 내적 위협
Ⅴ. 전문적 학습공동체의 과제
  1. 실천적 과제
  2. 이론적 과제
Ⅵ. 맺는말

제9장 교원평가제도의 쟁점과 과제
Ⅰ. 서론
Ⅱ. 교원평가의 이론적 기초
  1. 교원평가의 개념과 의의
  2. 평가의 목적
  3. 교원평가의 내용과 기준
  4. 교원의 평가방법
Ⅲ. 교원평가제의 현황과 문제점
  1. 교원근무성적평정
  2. 교원성과상여금평가
  3. 교원능력개발평가
  4. 업적평가
  5. 교원평가제 운영의 문제점
Ⅳ. 교원평가제를 둘러싼 쟁점
  1. 교원평가 목적에 대한 인식 격차 상존
  2. 평가의 주체
  3. 평가 결과의 활용
  4. 교원평가체제의 법적 근거 명료화
  5. 평가의 복잡성과 이중성
Ⅴ. 교원평가제의 혁신 과제
  1. 교원평가제의 법적 위상 확립
  2. 교원평가의 목적과 기능 재정립
  3. 평가의 요소 및 지표의 명세화 및 특성화
  4. 평가의 준거별 가중치 합리화
  5. 평가의 공정성 및 객관성 확보
  6. 평가 결과 활용의 다양화
  7. 교원평가체제의 일원화

제10장 교사 스트레스와 소진 및 회복
Ⅰ. 스트레스와 소진의 정의
  1. 스트레스의 개념
  2. 소진의 개념
Ⅱ. 교사 소진의 원인
  1. 학교조직의 구조
  2. 역할 모호성
  3. 교원평가
  4. 관리자와 교사 간의 관계
  5. 교육활동 침해
  6. 교사의 개인적 특성
  7. 학급관리 역량
Ⅲ. 교사 소진의 결과
  1. 정서적 고갈
  2. 개인적 성취감 감소
  3. 비인간화
Ⅳ. 교사 소진의 예방방안
  1. 관리자의 지원
  2. 전문적 역량의 개발
  3. 교사의 자율성 확대
  4. 전문적인 학습공동체의 참여
  5. 적절한 운동
  6. 기타 실용적인 예방 전략
Ⅴ. 교사 소진의 치유방안

제11장 교장 승진제도와 교장 공모제도
Ⅰ. 서론
Ⅱ. 교장의 자격, 직무, 임용
  1. 교장의 자격 기준
  2. 교장의 직무
  3. 교장의 임용
Ⅲ. 교장 승진제도의 이해
  1. 승진의 개념과 의의
  2. 승진 임용의 요건: 승진 임용 평정의 종류와 주요 내용
  3. 승진후보자 명부의 작성 및 가산점 평정
Ⅳ. 교장 공모제도의 이해
  1. 공모제의 의미와 도입 목적
  2. 공모제의 발달과 현황
Ⅴ. 교직과 교사에 주는 시사점
  1. 주요 논점
  2. 개선 과제

제12장 특수교육과 일반교육의 통합
Ⅰ. 통합교육의 정의
  1. 통합의 개념
  2. 통합교육의 기본 원리
  3. 통합교육의 이점과 제한점
  4. 통합교육을 위한 협력적 교육체제
Ⅱ. 통합교육에 대한 교사와 관리자의 신념
  1. 인식의 측면
  2. 지원의 측면
Ⅲ. 통합학급 학생의 학문적 요구에 대한 지원
  1. 다양성의 수용
  2. 일반학급에서의 다양성 수용 방법
Ⅳ. 향후 준비와 과제

제13장 유아교육 공영화: 유아교육과 보육의 통합
Ⅰ. 유아교육과 보육의 공공성
  1. 교육에서의 공공성의 의미
  2. 유아교육과 보육에서의 공공성의 의미
Ⅱ. 유아교육과 보육의 공공성 기준
Ⅲ. 공공성 증진을 위한 유아교육과 보육의 통합
  1. 유보통합의 필요성
  2. 유보통합의 추진 현황
  3. 유보통합의 선결 과제


제3부 교직과 교사 미래 전망

제14장 교원 역량 개발을 위한 도전과 과제
Ⅰ. 교원 역량 개발의 이론적 기초
  1. 역량의 개념과 구성 요소
  2. 역량의 유형과 역량 모델
  3. 교원의 역량 개발 관련 선행 연구 동향
Ⅱ. 역량 모델 운영 사례 및 시사점
  1. 역량 모델 운영 사례
  2. 교원직의 역량 개발에 주는 시사점
Ⅲ. 교원 역량 개발을 위한 도전과 과제
  1. 교원의 역량 모델 개발 및 도입
  2. 국가 수준의 교원 역량 개발 전담 관리체계 구축
  3. 역량 진단 도구 개발 및 자기진단 지원
  4. 역량 진단 결과와 연계한 주기적인 맞춤형 연수 지원
  5. 교사 학습공동체 활성화 지원

제15장 미래 교직사회의 변화 전망과 교원정책 이슈
Ⅰ. 미래 전망 시 유의점
Ⅱ. 교육과 미래 전망의 관계
Ⅲ. 교직에 영향을 미칠 미래 사회 변화
  1. 우리나라의 사회·경제 미래 변화와 교육
  2. 정치적 흐름
  3. 제4차 산업혁명과 교육
Ⅳ. 교직사회 변화 전망
  1. 과거의 미래 교직사회 전망 분석: 1994년에 바라본 21세기 학교 구성원 특성
  2. 미래 학교가 필요로 하는 교사의 자질과 역량
  3. 교직사회 변화 전망
Ⅴ. 교원정책 이슈
  1. 교원양성 이슈
  2. 교원정책 이슈

찾아보기



책소개 책요약(저자작성) 목차 저자/역자소개 PPT/도서자료

로그인을 하신 이후에 이용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책소개 책요약(저자작성) 목차 저자/역자소개 PPT/도서자료

로그인을 하신 이후에 이용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관련분야 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