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본 도서

top

알림

X

알림

X

알림

X

로그인 회원가입

분석심리학과 불교
한국융연구원 연구총서2
저자서동혁, 이문성
판형 신국판
제본 양장
페이지 352p
ISBN 978-89-997-0544-1 93180
발행일 2015-01-30
정가 17,000원
E-BOOK 정가 17,000원
책소개 책요약(저자작성) 목차 저자/역자소개 PPT/도서자료
이 글은 저자의 불교에 대한 관심에서, 그리고 간화선 수행과 융학파의 정신분석가가 되기 위한 수련 과정에서의 체험이 어우러져서 나온 글이다. 저자는 카를 구스타프 융의 분석심리학보다는 불교를 먼저 만났다. 불교에 대한 이해는 나중에 접하게 된 분석심리학을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이 되었다. 그러나 나중에는 거꾸로 분석심리학에 대한 이해가 불교에 대한 이해를 보다 심화시켜 주었다.
분석가 수련 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과정은 교육 분석이다. 교육 분석이란 자신이 알지 못했던 자신의 깊은 마음을 자신의 꿈을 통하여 이해함으로써 지금까지 자아의식을 중심으로 살아왔던 삶에서 벗어나 자기Self가 중심인 삶을 살아가도록 하는 과정이다. 저자는 이러한 분석가 수련 과정에서 저자 자신의 마음을 직접 체험함으로써 자기에 대한 이해의 폭을 조금씩 넓혀 갈 수 있었다. 분석심리학의 자기는 선불교의 자성自性 또는 자심自心에 해당되는 말이다. 분석심리학의 자기는 분석심리학에 대한 이론적인 공부만으로는 결코 이해할 수 없고 자신의 무의식을 직접 체험함으로써 이해할 수 있다. 이는 불립문자不立文字 직지인심直指人心 견성성불見性成佛을 내세우는 선불교에서 자성自性을 보는 것과 맥을 같이한다.
불교는 이고득락離苦得樂을 목표로 하는, 즉 고통에서 벗어나서 행복하게 사는 것을 목표로 하는 심리학이라 할 수 있다. 저자는 불교를 심오하고 어려운 종교가 아니라 실용적인 행복심리학으로 보고 싶어 한다. 기본 가르침인 사성제, 삼법인, 팔정도의 내용을 보아도 인간은 왜 고통스러운지를 설명하고 어떻게 하면 행복할 수 있는지를 설명하는 것이다. 융도 인간이 의식의 발달 과정에서 자아의식의 일방성에 의하여 의식과 무의식의 갈등 관계가 생기고 그것에 따른 부작용이 심리적인 병을 일으킨다고 보았고, 무의식은 치유의 능력을 가지고 있고 치유를 위하여 이미 작동하고 있다는 것을 알려주었다. 두 사상의 공통점은 인간은 의식의 발달을 위하여 ‘자아’라는 이분적 분별의 중심이 되는 심리 기능이 필요하고 자아에 의하여 의식의 확대를 얻었지만 그 대가로 집착이 생기고 현실이 왜곡되어 고통이 발생하게 되었다는 진단이다.



책소개 책요약(저자작성) 목차 저자/역자소개 PPT/도서자료

※ 책 요약 준비 중




책소개 책요약(저자작성) 목차 저자/역자소개 PPT/도서자료
한국융연구원 연구총서 제2권 발간에 부쳐
서문 1
서문 2

세친의 《유식삼십송》에 관한 분석심리학적 연구_서동혁

서 론
문제 제기 및 연구 방향
자료와 연구 방법

세친의 《유식삼십송》의 불교사적 위치
유식사상 성립의 역사적 배경
유식사상에서의 세친의 위치
《유식삼십송》의 불교사적 의의

분석심리학 개관
분석심리학의 형성 배경
융의 학문적 태도와 기본 학설
융의 동양사상 연구

《유식삼십송》의 번역과 주석

《유식삼십송》과 분석심리학 학설의 비교
제1송의 의미
제8식에 대한 비교 고찰
제7식에 대한 비교 고찰
6식의 비교 고찰
유식과 현상
삼 성
삼무성
수행 단계

결 론
《유식삼십송》과 분석심리학의 공통점
《유식삼십송》과 분석심리학의 차이점

참고문헌

《육조단경》에 대한 분석심리학적 이해_이문성

서 론

《육조단경》에 대한 분석심리학적 이해
識心見性 自成佛道
無念爲宗 無相爲體 無住爲本
定慧等; 定慧體一不二
歸依自性三寶와 四弘誓願
出語盡雙 皆取法對

결 론

참고문헌

찾아보기



책소개 책요약(저자작성) 목차 저자/역자소개 PPT/도서자료

로그인을 하신 이후에 이용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책소개 책요약(저자작성) 목차 저자/역자소개 PPT/도서자료

로그인을 하신 이후에 이용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관련분야 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