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본 도서

top

알림

X

알림

X

알림

X

로그인 회원가입
  • 통합검색
용어 행동목표
영문 behavioral objectives
출처 교육평가용어사전
내용 학교수업에서 학습자에게 성취되기를 기대하는 성취목표나 교수목표를 구체적이고, 관찰 가능한 명시적 외현적 행동(overt behavior)으로 기술한 것이다. 즉 학습을 통해 최종적으로 도달되기를 기대하는 행동을 정량화시킬 수 있고 관찰될 수 있는 외현적 행동으로 진술한 목표이다. 예를 들어, 계산한다, 고른다, 구별한다, 짝짓는다 등과 같은 동사는 직접 관찰될 수 있는 행동을 묘사하므로 이러한 동사를 이용하여 진술한 목표는 행동목표이다. 반면에, 이해한다, 파악한다 등과 같이 직접 관찰될 수 없는 암시적, 내현적 행동(covert behavior)으로 진술된 목표는 일반적 목표라고 한다. 행동목표의 기원은 멀리 그리스의 소피스트로까지 거슬러갈 수 있으나 현대적인 의미에서의 행동목표의 개념을 개발한 학자는 Ralph Tyler이다. 그는 8년 연구에서 진보주의 교육의 우수성을 객관적으로 보이기 위해 교수목표를 구체화시켜야 할 필요성을 느끼고 행동목표를 도입하였다. 또한 행동주의 심리학은 교육목표를 행동목표로 진술하고자 하는 움직임에 큰 영향을 주었다. 행동목표 진술방식은 학자에 따라 조금씩 다르다. 1950년 Ralph Tyler는 학습내용이 명시되며, 학습자의 행동으로 표현되고, 도달점 행동(terminal behavior)이 구체적으로 진술되어야 할 것을 주장하였으며, Robert Mager와 Robert Gagne는 학습자의 도달점 행동과 그 행동이 일어나는 조건을 구체적으로 진술되어야 한다고 하였는데, Robert Mager는 이에 더하여 그 도달점 행동이 달성된 정도를 판단할 수 있는 준거도 명시되어야 한다고 하였다. 행동목표를 사용하면, ① 행동목표가 교수-학습 내용과 교수-학습방법을 안내할 수 있고, ② 교수-학습목표가 달성되었는지를 확인하는 데 행동목표를 사용할 수 있고, ③ 학생들이 교수-학습에서 무엇을 학습할 것으로 기대되는지를 알 수 있고, ④ 평가가 구체적인 목표에 기반을 둘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고 한다. 그러나 교수-학습과정은 역동적이며 복합적이어서 모든 교수목표를 행동적 용어로 미리 세분화하여 명시할 수 없으며, 행동목표에 의거한 수업은 구체적으로 명시된 행동에만 관심을 갖고 행동목표로 진술되지 못하는 능력을 간과한다는 문제점이 지적되기도 한다.(E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