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임상아동심리학의 적용 소아과 의사를 위한 |
저자 | Dennis Drotar |
역자 | 노주선,이유리 |
판형 | 신국판 |
제본 | 반양장 |
페이지 | 356p |
ISBN | 978-89-5891-068-8 93180 |
발행일 | 2005-01-10 |
정가 |
14,000원
|
|
책소개 |
책요약(저자작성) |
목차 |
저자/역자소개 |
PPT/도서자료 |
이 책은 소아과에서 심리학자로 일하는 저자의 임상경험을 토대로 하여 소아과 내 다양한 장면에서 활동하는 심리학자의 역할뿐 아니라 다른 전문가들과의 관계 형성, 이러한 장면에서 심리학자에게 요구되는 특성, 마케팅의 필요성 등 심리학자의 역할을 수행하는 데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제반요인에 대한 매우 실제적이고 생생한 조언을 제공하고 있다. 이 책은 의료 영역, 즉 병원장면에서 임상심리학자의 역할을 보다 넓히고, 임상학자들이 익숙한 기존 영역 외에 새로운 영역에 도전하는 과정에서 활용할 수 있는 기본적인 원리를 제공하고 있다. 즉, 심리학적 원리를 가지고 정신과나 신경과 이외의 소아과, 산부인과, 혹은 가정의학과 등에서 심리학적 서비스를 필요로 하는 사람들에게 효과적인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심리학자와 의뢰하는 과 모두 윈윈하게 되는 새로운 모델이 필요하며, 이것이 적용되는 원리 및 태도는 단지 의료 장면뿐 아니라 학교나 기업 등 다른 전문 영역과 협력적인 관계를 유지하는 데에도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
|
책소개 |
책요약(저자작성) |
목차 |
저자/역자소개 |
PPT/도서자료 |
책소개 |
책요약(저자작성) |
목차 |
저자/역자소개 |
PPT/도서자료 |
제1부 소아과 자문의 기초
제1장 심리학자와 소아과 의사 사이의 협력의 발전
제2장 협력적 활동 및 영향의 모형
제3장 1차치료 장면에서의 자문과 협력
제4장 소아과 입원 장면에서의 자문과 협력
제5장 소아과 장면에서 다른 전문가들과의 협력
제6장 만성질환 아동과 가족을 위한 프로그램에서의 협력
제7장 연구와 관련된 협력
제8장 대학병원에서의 소아과 심리 프로그램 개발
제9장 협력에서의 직업적, 윤리적 문제
제10장 자문과 협력에 대한 경험적 연구
제11장 자문과 협력을 위한 심리학자의 훈련
제2부 소아과 장면에서의 자문
제13장 소아위장학에서의 협동적인 심릭학 업무
제14장 청소년의학 클리닉에서의 심리학적 자문
제15장 가정의학에서의 심리학적 자문
제16장 협력을 위한 새로운 기회
제17장 미래의 협력
에필로그
|
책소개 |
책요약(저자작성) |
목차 |
저자/역자소개 |
PPT/도서자료 |
책소개 |
책요약(저자작성) |
목차 |
저자/역자소개 |
PPT/도서자료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