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본 도서

top

알림

X

알림

X

알림

X

로그인 회원가입

성격강점과 장애 안에 잠재된 능력
장애와 문제를 넘어, 인간의 잠재력을 이끌어 내는 강점 연구와 실제
저자Ryan M. Niemiec, Dan Tomasulo
역자 김광수, 이혜연
판형 크라운판
제본 반양장
페이지 336p
ISBN 978-89-997-3563-9 93180
발행일 2025-11-10
정가 20,000원
책소개 책요약(저자작성) 목차 저자/역자소개 PPT/도서자료

이 책에서 다루는 주요 주제는 다음과 같다.

 

-장애, 문제, 고통 전반에 걸쳐 내재된 역량 및 능력으로서의 성격강점

-주의력 결핍 및 과잉 행동장애(ADHD)와 성격강점

-지적장애 및 발달장애, 신체적 ·의학적 장애와 성격강점

-정신 및 정서 장애(: 트라우마)와 성격강점

-정의, 포용성, 이중 진단, 영성 등 특수한 이슈 전반에 걸친 성격강점과 장애

 

이 책은 장애를 결함이 아닌 개인의 성격강점과 잠재력의 관점에서 바라보며, 강점 기반 장애 이해와 지원방안을 탐구한다. 다양한 장애 유형에 적용 가능한 성격강점의 이론과 실제 사례를 통해 회복탄력성과 웰빙을 증진시키는 실질적 방안을 제시한다. 이 책은 발달 및 긍정 심리학, 상담심리학, 재활, 사회복지, 특수교육, 작업치료, 언어치료, 공중보건, 의료정책 등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 교수, 임상가, 실무자, 치료사뿐 아니라 교육, 상담, 코칭, 인간 돌봄과 복지케어 관련 전공의 대학생과 대학원생에게도 필수적이며 매우 가치 있는 자료를 제공한다.




책소개 책요약(저자작성) 목차 저자/역자소개 PPT/도서자료

※ 책 요약 준비 중




책소개 책요약(저자작성) 목차 저자/역자소개 PPT/도서자료
역자 서문
저자 서문

제1부 성격강점과 장애의 기초

제1장 장애 및 강점 기반 접근법 소개
개념
 웰빙의 연구
 왜 강점인가
 다양한 종류의 강점
연구
 강점 또는 약점?
 여러 분야에 걸친 강점 기반 접근
 낙인과 강점
실제(실무)
 약점에서 강점으로의 전환
향후 방향
참고문헌

제2장 성격강점: 능력의 발견, 웰빙 그리고 회복탄력성 계발
개념
 성격강점은 차원적이다
 성격강점은 다원적이다
 성격강점은 상황(맥락) 속에서 표현된다
 24개 성격강점이 모두 중요하다
 성격강점은 개발 가능하다
연구
실제(실무)
 개입(중재)
 자가 실행
 실행 유형(방법)
향후 방향
참고문헌

제2부 특정장애와 성격강점

제3장 지적장애 및 발달장애, 자폐 스펙트럼 장애와 성격강점
개념
연구
 평가도구
 스태프의 성격강점
 장애를 지닌 사람들의 성격강점
 성격강점의 결과
실제(실무)
 개입으로서의 평가
 초기 실행 단계
 강점 알아차리기
 사례 예시: 불편한 친구
 개입 적용
 개별화 계획
향후 방향
참고문헌

제4장 성격강점과 주의력 결핍 및 과잉 행동장애(ADHD)
개념
연구
 학습장애
실제(실무)
 기존 ADHD 치료 및 접근 방식에 성격강점 통합하기
 내담자의 성격강점 증진을 목표로 하기
 성격강점 개입 사용하기
 성격강점 활용하기(실무자가 자신의 강점을 사용하기)
사례 예시
향후 방향
참고문헌

제5장 트라우마 장애와 성격강점
개념
 회복탄력성과 장애의 역설
연구
실제(실무)
 사례 예시
향후 방향
참고문헌

제6장 정신적 장애와 성격강점
개념
연구
 강점의 완화 가치
 정신건강을 위한 강점의 이중적 역할
 강점의 과다 사용, 과소 사용, 최적 사용
 긍정심리치료
실제(실무)
사례 연구
향후 방향
참고문헌

제7장 신체적, 의학적 장애(질병)와 성격강점
개념
연구
실제(실무)
 건강 증진
 질병 관리
 헬스케어 및 의료 전문가 지원
 소진(번아웃) 줄이기
향후 방향
참고문헌



책소개 책요약(저자작성) 목차 저자/역자소개 PPT/도서자료

로그인을 하신 이후에 이용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책소개 책요약(저자작성) 목차 저자/역자소개 PPT/도서자료

로그인을 하신 이후에 이용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관련분야 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