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5년에 보청기 교과목을 강의하는 교수와 청각학 전공의 학부 및 대학원생을 위하여 『보청기평가』라는 제목으로 교재를 발간한 후 14년 후인 2019년에 보청기적합의 중요성을 강조하여 『보청기평가 및 적합』이란 제목으로 2판을 발간하였다. 그 후 보청기 제작기술, 소음처리기능, AI 기술의 접목, 적합공식, 청능훈련, 소프트웨어의 개발 등에서 빠른 속도로 수많은 변화와 발전이 있었기에 이를 반영하여 3판을 발간하였다. 대부분의 정보는 선진국의 보청기 관련 전문서적, 국내외의 최신 논문, 국제표준과 한국표준 및 국가직무능력표준 그리고 30여 년 동안의 보청기 관련 강의, 임상 및 연구 경험에서 얻은 것이다. 이러한 정보를 바탕으로 기존의 내용을 재정리하고 보완하였다.
이 책은 총 16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제1장부터 제7장까지는 보청기와 관련한 기본적인 사항, 즉 소리와 청각손실의 이해, 보청기의 역사와 분류, 기본 구조와 기능, 보청기 특성의 측정, 귀꽂이와 보청기몸체, 실이측정, 증폭시스템 등을 설명하였고, 제8장부터 제13장까지는 응용 부분으로 보청기적합공식, 선택, 적합 확인, 문제점 해결, 상담과 교육 및 청능훈련을 다루었다. 제14장과 제15장은 또 다른 교재가 필요할 정도로 넓은 분야인 특수보청기와 이식형 청각기기에 대해 간단히 소개하였고, 아동의 중요성과 난이도를 고려하여 제16장 ‘아동의 보청기적합’을 따로 추가하였다. 또한 한림국제대학원 대학교와 삼성전자가 공동 개발한 보청기적합공식 HAI-V1(<부록 1> 참조)과 국제표준 보청기적합관리 인증제(<부록 3> 참조)를 이 책의 마지막 부분에 부록으로 수록하였다. 아직 미비한 점이 많고, 보청기 기술과 관련 분야가 급속히 변화하고 발전하기에 책을 출간하는 것이 항상 두렵다. 하지만 이 책을 집필하면서 무엇보다 먼저 난청인들의 불편을 생각하였고, 후학들이 보청기 분야를 더 잘 이해하여 난청으로 고통받는 사람들에게 더 많은 도움을 줄 수 있을 거라는 믿음으로 집필하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