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교재는 ㈔한국사회복지교육협의회의 『사회복지 교과목 지침서』(2022. 7. 개정)를 준용하되 장애인복지 특성별 주제 전개와 주차별 수업 여건 등을 고려한 목차 구성으로 3개의 PART와 13개의 장으로 구성하였다. ‘PART 01: 장애인복지의 기초적 이해’는 장애의 개념과 장애인복지의 이념, 발달을 시작으로 장애 인구 현황과 유형별 이해, 사회적 인식, 장애인복지의 핵심 이론과 모델, 접근방법, 그리고 생애주기적 접근에 관하여 다루었다(1~5장). ‘PART 02: 장애인복지 정책과 실천 이해’는 소득을 비롯한 고용, 교육, 의료, 주거 등 다양한 영역의 장애인복지 정책과 이를 구현하는 행정 및 전달 체계, 그리고 개인, 집단, 지역사회 차원에서 이루어지는 장애인복지 실천방법과 기술을 구체적으로 다루면서, 장애인복지 서비스의 특성과 개요, 시설 및 기관의 종류와 역할을 일목요연하게 소개하였다(6~10장). ‘PART 03: 장애인복지 현장의 핵심 이슈와 과제’는 먼저 핵심 이슈 1에서는 장애와 고령화, 성, 결혼과 모·부성권, 문화·여가 생활, 4차 산업혁명 등 현재 장애인복지 현장의 주요 이슈들을 소개하였고, 이어서 핵심 이슈 2에서는 개인예산제도, 장애인 성년후견, 장애인 평생교육, 최중증발달장애인 통합돌봄서비스와 같은 정책 및 제도 관련 이슈를 중심으로 소개하였다. 마지막으로는 장애 패러다임 변화, 장애 감수성과 인권 기반, 디지털 시대 접근성, 탈시설과 지역사회 통합, 장애인운동 등에 중심을 두고 한국 장애인복지의 나아갈 방향과 과제를 논의하였다(11~13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