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사의학
의료인문학의 임상활용법 |
저자 | 정영화, 이경란, 정영화, 김경옥, 김민화, 김병익, 박능화, 박성재, 성정혜, 안동현, 안지위, 유달석, 이경란, 이돈, 이주철, 조민선, 조용균, 최순봉 |
판형 | 신국판 |
제본 | 반양장 |
페이지 | 528p |
ISBN | 978-89-997-3496-0 03510 |
발행일 | 2025-09-10 |
정가 |
23,000원
|
|
책소개 |
책요약(저자작성) |
목차 |
저자/역자소개 |
PPT/도서자료 |
현대 의학은 근거중심의학의 성과로 크게 발전했지만, 환자를 온전한 인간으로 대하지 못하고 단순한 질병 사례로 취급하는 한계가 있다. 이 책은 환자의 이야기를 경청하고 해석하는 능력, 즉 서사의학을 의료 현장에 도입해야 함을 강조한다. 서사의학은 환자와 의료진 사이의 관계성과 공감, 소통을 회복하고 진료 성과를 높이는 핵심 도구로 제시된다. 이를 위해 문학 읽기와 창의적 글쓰기, 임상 사례 분석 등을 통한 서사역량 강화 방법을 구체적으로 소개한다. 또한 한국 의료 현장에서 드러나는 갈등과 환자들의 목소리를 분석하고, 환자중심 의료를 위한 사회문화적 과제와 윤리적 대안을 탐구한다. 궁극적으로 이 책은 치료를 넘어 치유와 돌봄을 지향하며, 환자와 의료인, 가족이 함께 공감하는 새로운 의료 문화를 정립하고자 한다. |
|
책소개 |
책요약(저자작성) |
목차 |
저자/역자소개 |
PPT/도서자료 |
이 책은 근거중심의학이 발전하면서 환자가 온전한 인간으로 존중받지 못하는 현실을 비판한다. 환자의 이야기를 경청하고 해석하는 능력인 서사의학을 의료 현장에 도입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서사의학은 의사와 환자 사이의 관계를 회복하고 공감과 소통을 강화하며 진료 성과를 높이는 핵심 방법으로 제시된다. 이를 위해 문학 읽기, 창의적 글쓰기, 임상 사례 분석 등을 통한 서사역량 강화 방법을 구체적으로 다룬다. 또한 한국 의료의 사회문화적 과제를 분석하고 환자중심 의료를 위한 윤리적 대안을 제안한다. 궁극적으로 치료를 넘어 치유와 돌봄을 지향하며 환자와 의료인, 가족이 함께 공감하는 의료 문화를 세우고자 한다.
|
책소개 |
책요약(저자작성) |
목차 |
저자/역자소개 |
PPT/도서자료 |
들어가는 글
제1부
서사역량 키우기
제1장 서사역량 강화와 서사의학 실천을 위한 길라잡이 톡•이경란
서사의학을 만나다
의학과 내러티브
서사역량 키우기
서사역량 강화법의 핵심: ‘자세히 읽기’와 ‘창의적 글쓰기’
서사의학의 세 과정
심장의 조화로운 운동: 확장과 수축
제2장 환자중심 의료를 위한 상호주관성 고찰•유달석
상호주관성의 방법론 연구
상호주관성의 정신분석적 이해 및 서사의학적 적용: 치료적 관계의 역동적 이해
상호주관성과 서사의학: 치료적 관계에서 차이와 복잡성을 수용하는 역동
임상 사례 분석
서사의학을 위한 제언
제3장 관계적 공감과 체화된 공감: 서사의학 교육의 새로운 방향•김민화
서사의학을 통한 공감교육의 필요성
공감의 이론적 이해
공감교육을 위한 다양한 접근
공감교육을 위한 문학 읽기 사례
서사의학 공감교육 프로그램 설계
서사의학 공감교육의 발전 방향
제4장 드라마 에 나타난 의사-환자 관계성 연구•성정혜
의사-환자 관계 엿보기
한국 의학 드라마의 변천사: 의사-환자 관계성을 중심으로
드라마 의 대화 유형
드라마 에 나타난 의사-환자 관계성: 대화 양상에 대한 분석
드라마 가 시사하는 바람직한 의사-환자 관계
제5장 소설 『에브리맨』 읽기를 통한 서사역량 강화법•안동현
서사의학 텍스트로서 노년 내러티브의 의미
내러티브의 형식적 요소들에 주의 기울이기
시점과 화법에 초점 맞추어 읽기
소설 읽기를 통한 서사역량 강화
제6장 전문직 수행을 위한 창의적 임상 글쓰기: 병행기록•안지위
의료인과 창의적 글쓰기
의학적 사고방식과 글쓰기
의무기록 작성에 대한 비판적 검토
임상적 만남의 창의적 특성
창의적 글쓰기의 특성
임상에서의 창의적 글쓰기, 병행기록
의학적 글쓰기와 병행하는 창의적 글쓰기
제7장 임상의사의 서사의학 교육경험•김경옥
임상의사의 인문학 강의
서사의학 교육
서사의학 교육을 위한 자료수집과 선정
서사의학 교육 강화를 통한 ‘좋은 의사’ 키우기
제8장 서사의학의 질적연구방법 이해•김민화
서사의학과 인간중심 연구방법의 필요성
서사의학에 적용 가능한 질적연구방법들
서사의학에 적용 가능한 혼합연구와 다학제연구
서사의학에서 인간중심 연구실행을 위한 제언
제2부
환자에게 다가가기
제9장 따뜻한 진료실을 바라는 환자들의 목소리: 의사에게 바란다•이주철
‘좋은’ 의사-환자 관계를 소망하며
의사-환자 갈등의 원인
환자들의 진료경험 분석
왜 공감과 소통인가
바람직한 의사-환자 관계를 위한 환자들의 목소리
발전적인 공감진료 연구를 위한 제언
공감과 소통으로 환자중심 진료가 꽃피우길 바라며
제10장 의사와 환자의 관계성 향상을 위한 해법: 임상 사례를 통한 분석•김병익, 조용균, 이돈
진료실 갈등 해결의 열쇠, ‘좋은’ 의사-환자 관계
환자들이 기대하는 바람직한 의사상
최선을 다해 준 의사에 감사하는 환자와 가족들
의사-환자 관계의 장애물
때론 의사도 환자의 이웃이고 싶다
의사-환자 관계 향상을 위한 제언
제11장 서사의학을 위한 의사-환자 관계 모델 탐구•안동현
의사-환자 관계의 중요성
의사-환자 관계 모델 탐구: 이매뉴얼과 이매뉴얼의 의사-환자 관계 네 모델
문학작품에 나타난 의사-환자 관계 모델
서사의학을 위한 이상적 의사-환자 관계 모델 제안
서사의학 확립을 위한 과제
제12장 환자중심 의료를 위한 사회문화적 과제와 대책•박능화, 박성재, 정영화
왜 환자중심 의료인가
우리나라 의료의 사회문화적 과제
환자중심 의료에 적합한 의료인 양성
환자중심 의료환경 조성
도전과 과제
제13장 질환의 여정에서 되새기는 치유의 의미•정영화
치료를 넘어 치유로
누구에게나 치유가 필요하다
질환의 여정에서 치유가 갖는 특별한 의미
치유를 돕는 다양한 방법들
환자의 치유와 따뜻하고 효율적인 돌봄을 위한 협력
인문학의 놀라운 치유력: 문학 읽기와 글쓰기를 중심으로
질환의 여정에서 치유가 갖는 의미
제14장 죽음 앞에서 성찰하는 사도 바울의 치유: 로마로 가는 마지막 여정•최순봉
죽음 앞에 선 사도 바울
사울-바울-그리스도의 사도
로마로 향하는 바울
바울의 죽음과 치유
제15장 환자중심 의료를 위한 일상적 의료윤리의 재고: 이중 행위주체성을 중심으로•정영화
우리는 왜 서로 다른 꿈을 꾸는가
진료실 갈등
환자중심 의료의 필요성
이중 행위주체론에 근거한 의료윤리
의료에서 생명윤리 원칙의 적용과 문제점
의료윤리강령의 문제점과 개선 방향
환자중심 의료로 가는 길
서사의학 북클럽 중계
[부록 1] 북클럽 I: 창의성을 가르칠 수 있는가 _
발제: 김민화 / 토론 진행: 이경란
[부록 2] 북클럽 I I: 교육의 정치학
발제: 조민선 / 토론 진행: 이경란
[부록 3] 북클럽 I I I: 근거중심의학과 이야기의학: 조화로운 커플
발제: 김경옥 / 토론 진행: 이경란
◌ 찾아보기
|
책소개 |
책요약(저자작성) |
목차 |
저자/역자소개 |
PPT/도서자료 |
책소개 |
책요약(저자작성) |
목차 |
저자/역자소개 |
PPT/도서자료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