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에서는 개별화교육을 계획하고 실행하는 방법적인 측면을 강조하였고, 학교 현장에서 개별화교육을 실시할 때 도움을 줄 수 있는 구체적인 작성 방법과 예시 자료를 추가하여 작성과 관리에 도움을 주려고 노력하였다. 특히 특수교사로 종사할 예비교사들에게 개별화교육을 강의하면서, 이들이 개별화교육계획을 이해하고 작성하는 데 많이 힘들어하는 부분을 파악하여 이를 보다 쉽게 이해하고 실행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 책의 제1장에서는 개별화교육의 이론적 기초를, 제2장에서는 개별화교육의 법적 근거와 정의 및 기능을 제시하였다. 제3장에서는 개별화교육지원팀의 조직을 소개하면서 각 구성원이 해야 할 구체적인 역할을 제시하였다. 제4, 5, 6장에서는 구체적으로 개별화교육을 계획하고 실행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장애학생의 특성 및 현재 수행 수준 파악, 장·단기 목표 설정 방법, 이에 따른 구체적인 지도내용 선정과 교육방법에 대하여 예시 자료를 병행하여 제시하였다. 그리고 제7, 8장에서는 목표에 대한 평가 방법과 개별화교육계획 전체 프로그램에 대한 평가 방안을 소개하였다. 제9장에서는 개별화교육계획과 연관된 개별화전환교육계획(Individual Transition Plan: ITP)의 작성 방법과 관련성을 설명하였다. 제10, 11, 12장에서는 실제 현장에서 많이 적용하고 있는 삽입 중심 교수, 사회적 기술 프로그램, 중도·중복장애학생을 위한 기능적 교육과정에 개별화교육계획을 적용하여 제시하였다. 제16장에서는 저자가 학술지에 발표한 국내 개별화교육의 실행 양상과 향후 과제를 소개하며 현재의 운영 실태와 개선 방향을 제시하였다. 2판에서는 추가적으로 중도·중복장애학생의 의사소통 지도를 위한 기본적인 이해와 이를 통한 개별화교육계획을 제13, 14장에서 다루었다. 제15장에서는 개별화교육계획과 개별화전환교육을 실행하는 데 있어 관련 인사들의 역할과 기관들의 협력의 중요성에 대해 소개하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