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본 도서

top

알림

X

알림

X

알림

X

로그인 회원가입

학교현장 중심의 아동∙청소년 이상심리학
저자PsychologyTerry Diamanduros, PhD·P. Dawn Tysinger, PhD, NCSPJeffrey A. Tysinger, PhD, NCSP·Pamela A. Fenning, PhD, ABPP
역자 이동형, 김문재, 이창우, 김주영, 강수현
판형 4x6배판
제본 반양장
페이지 728p
ISBN 978-89-997-3460-1 93180
발행일 2025-07-31
정가 32,000원
책소개 책요약(저자작성) 목차 저자/역자소개 PPT/도서자료

이 책은 학교현장 및 학교심리학의 관점에서 아동·청소년의 다양한 정신병리를 다루고 있는 독특한 책으로, DSM-5의 진단기준과 특수교육 수혜자격 결정에 사용되는 미국의 장애인교육법(IDEA)의 진단기준을 비교하면서 아동·청소년기 다양한 정신건강 문제를 종합적으로 다루고 있다. 또한 다양한 심리적 장애가 학교와 가정에서 어떠한 영향을 미치며, 학교환경에서 실행가능하고 경험적으로 검증된 교육적 지원 및 학교기반의 정신건강 개입 방안은 무엇인지 잘 소개하고 있다. 이 책은 원래 미국에서 학교심리사를 양성하는 대학원 과정에서 사용할 교재로 집필되었으나, 우리나라 학교현장에서 미국의 학교심리사와 유사한 역할을 수행하는 상담교사, 심리사, 상담사뿐 아니라 다양한 요구를 지닌 학생들을 일선에서 상담하고 지도하는 일반교사 및 특수교사에게도 매우 유용한 내용을 깊이 있게 담고 있다. 또한 각 장애에 대해 평가, 교육적 중재와 상담지원, 자문, 권익옹호 관련 문제를 포괄적으로 다루고 있으며, 장애별 사례연구는 학생의 분류와 지원 관련 문제를 깊이 있게 성찰하도록 돕는다.

 

이 책의 핵심 특징

1. 학교와 가정에서 접하는 아동·청소년의 정신건강 문제를 망라하여 학교심리학적 관점에서 서술하고 있다.

2. DSM-5의 진단과 장애인교육법의 교육적 진단 분류 및 기타 법률적 보호 조항 등을 비교하여 통합적으로 다룬다.

3. 다양한 장애가 교실에서 학생의 학습과 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다룬다.

4. 장애별로 실제적이며 증거에 기반한 교육적 중재 방법과 학교기반의 정신건강 서비스를 소개하고 있다.

5. 학생의 진단 및 분류 문제를 다루고 실제적인 지원 관련 쟁점을 보여 주는 사례연구를 포함하고 있다.




책소개 책요약(저자작성) 목차 저자/역자소개 PPT/도서자료

※ 책 요약 준비 중




책소개 책요약(저자작성) 목차 저자/역자소개 PPT/도서자료
역자 서문
서문

제1부 학교현장과 아동·청소년의 정신건강 문제

제1장 아동·청소년의 정신건강
도입
학교에서 아동·청소년의 정신건강 문제 다루기: 학교심리사의 역할
학교에서 정신건강 문제의 확인: DSM 및 IDEA
결론적 논평

제2부 신경발달장애

제2장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도입
진단적 쟁점: DSM-5 및 학교기반 서비스
문화적 쟁점
학교와 가정에서 사회성, 정서 및 행동 기능에 미치는 영향
교실에서 학습에 미치는 영향
학교심리사를 위한 시사점
교육적 지원
학교기반 정신건강 개입과 지원
사례 연구

제3장 지적장애
도입
진단적 쟁점: DSM-5 및 IDEA
문화적 쟁점
학교와 가정에서 사회성, 정서 및 행동 기능에 미치는 영향
교실에서 학습에 미치는 영향
학교심리사를 위한 시사점
교육적 지원
학교기반 정신건강 개입과 지원
사례 연구

제4장 자폐스펙트럼장애
도입
진단적 쟁점
문화적 쟁점
학교와 가정에서 사회성, 정서 및 행동 기능에 미치는 영향
교실에서 학습에 미치는 영향
학교심리사를 위한 시사점
교육적 지원
학교기반 정신건강 개입과 지원
사례 연구

제3부 파괴적, 충동조절 및 품행장애

제5장 품행장애
도입
진단적 쟁점: DSM-5 및 학교기반 서비스
문화적 쟁점
학교와 가정에서 사회성, 정서 및 행동 기능에 미치는 영향
교실에서 학습에 미치는 영향
학교심리사를 위한 시사점
교육적 지원
학교기반 정신건강 개입과 지원
사례 연구

제6장 적대적 반항장애
도입
진단적 쟁점: DSM-5 및 학교기반 서비스
문화적 쟁점
학교와 가정에서 사회성, 정서 및 행동 기능에 미치는 영향
교실에서 학습에 미치는 영향
학교심리사를 위한 시사점
교육적 지원
학교기반 정신건강 개입과 지원
사례 연구

제7장 간헐적 폭발장애
도입
진단적 쟁점: DSM-5 및 학교기반 서비스
문화적 쟁점
학교와 가정에서 사회성, 정서 및 행동 기능에 미치는 영향
교실에서 학습에 미치는 영향
학교심리사를 위한 시사점
교육적 지원
학교기반 정신건강 개입과 지원
사례 연구

제4부 불안장애

제8장 범불안장애
도입
진단적 쟁점: DSM-5 및 학교기반 서비스
문화적 쟁점
학교와 가정에서 사회성, 정서 및 행동 기능에 미치는 영향
교실에서 학습에 미치는 영향
학교심리사를 위한 시사점
교육적 지원
학교기반 정신건강 개입과 지원
사례 연구

제9장 분리불안장애
도입
진단적 쟁점
문화적 쟁점
학교와 가정에서 사회성, 정서 및 행동 기능에 미치는 영향
교실에서 학습에 미치는 영향
학교심리사를 위한 시사점
교육적 지원
학교기반 정신건강 개입과 지원
사례 연구

제10장 사회불안장애
도입
진단적 쟁점: DSM-5 및 학교기반 서비스
문화적 쟁점
학교와 가정에서 사회성, 정서 및 행동 기능에 미치는 영향
교실에서 학습에 미치는 영향
학교심리사를 위한 시사점
교육적 지원
학교기반 정신건강 개입과 지원
사례 연구

제11장 선택적 함구증
도입
진단적 쟁점: DSM-5 및 학교기반 서비스
문화적 쟁점
학교와 가정에서 사회성, 정서 및 행동 기능에 미치는 영향
교실에서 학습에 미치는 영향
학교심리사를 위한 시사점
교육적 지원
학교기반 정신건강 개입과 지원
사례 연구

제5부 우울장애

제12장 주요우울장애
도입
진단적 쟁점: DSM-5 및 학교기반 서비스
문화적 쟁점
학교와 가정에서 사회성, 정서 및 행동 기능에 미치는 영향
교실에서 학습에 미치는 영향
학교심리사를 위한 시사점
교육적 지원
학교기반 정신건강 개입과 지원
사례 연구

제13장 파괴적 기분조절
도입
진단적 쟁점: DSM-5 및 학교기반 서비스
문화적 쟁점
학교와 가정에서 사회성, 정서 및 행동 기능에 미치는 영향
교실에서 학습에 미치는 영향
학교심리사를 위한 시사점
교육적 지원
학교기반 정신건강 개입과 지원
사례 연구

제14 장 지속성 우울장애
부전장애
도입
진단적 쟁점: DSM-5 및 학교기반 서비스
문화적 쟁점
학교와 가정에서 사회성, 정서 및 행동 기능에 미치는 영향
교실에서 학습에 미치는 영향
학교심리사를 위한 시사점
교육적 지원
학교기반 정신건강 개입과 지원
사례 연구

제6부 강박 및 관련 장애

제15장 강박장애
도입
진단적 쟁점
문화적 쟁점
학교와 가정에서 사회성, 정서 및 행동 기능에 미치는 영향
교실에서 학습에 미치는 영향
학교심리사를 위한 시사점
교육적 및 사회정서적 지원
학교기반 정신건강 개입과 지원
사례 연구

제16장 저장장애
도입
진단적 쟁점: DSM-5 및 학교기반 서비스
문화적 쟁점
학교와 가정에서 사회성, 정서 및 행동 기능에 미치는 영향
교실에서 학습에 미치는 영향
학교심리사를 위한 시사점
교육적 지원
학교기반 정신건강 개입과 지원
사례 연구

제7부 외상 및 스트레스 관련 장애

제17장 외상후 스트레스장애
도입
진단적 쟁점: PTSD 및 발달외상장애
문화적 쟁점
학교와 가정에서 사회성, 정서 및 행동 기능에 미치는 영향
교실에서 학습에 미치는 영향
학교심리사를 위한 시사점
교육 및 사회·정서적 지원
학교기반 정신건강 개입과 지원
사례 연구

제18장 반응성 애착장애
도입
진단적 쟁점
문화적 쟁점
학교와 가정에서 사회성, 정서 및 행동 기능에 미치는 영향
교실에서 학습에 미치는 영향
학교심리사를 위한 시사점
교육 및 사회·정서적 지원
학교기반 정신건강 개입과 지원
사례 연구

찾아보기



책소개 책요약(저자작성) 목차 저자/역자소개 PPT/도서자료

로그인을 하신 이후에 이용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책소개 책요약(저자작성) 목차 저자/역자소개 PPT/도서자료

로그인을 하신 이후에 이용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관련분야 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