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개정판에서는 새로 발간된 『DSM-5-TR』에 맞게 진단 준거 및 유병률을 수정하였다. 2판에서 연구진단으로 들어가 있던 지속성 복합 애도장애는 『DSM-5-TR』에 따라 외상 후스트레스 관련 장애 섹션의 지속적 비탄장애(Prolonged Grief Disorder)로 옮겨졌다. 진단명은 『DSM-5-TR』 한글판과 가급적 용어를 통일하였는데, 2판에 실린 성별 불쾌감이 젠더 불쾌감으로 수정된 것이 그 예라고 볼 수 있다. 임상 환자뿐 아니라 일반인들의 수면 문제에 대한 관심이 많아진 것을 고려해서 불면증과 기면증에 대한 내용을 더 보충하였다. 또한 트랜스젠더에 대한 최신 연구 동향에 맞게 다양한 스펙트럼상의 젠더 정체성에 대한 개념을 추가하였다. 이상심리 관련 최신 동향이라고 할 수 있는 초진단적 접근에 대해서도 간단하게 내용을 수록하였다. 초진단적 접근은 특정 증상이나 범주에만 초점을 맞추지 않고 서로 다른 정신장애의 기저에 있는 공통적인 과정과 요인을 강조하고 있다는 점에서 앞으로 여러 진단적 범주에 적용될 가능성이 높다. 또한 정신병리를 차원적·계층적으로 개념화하여 기존의 DSM, ICD와 같은 진단 시스템에 대한 대안을 제공하고 있는 계층적 분류법(HiTOP)에 대해서도 최신 동향 섹션에 넣었다. 마지막으로, 오래된 자료와 참고문헌을 삭제하고 비교적 최근의 새로운 연구 문헌을 참고하고 수록하였다.
책소개
책요약(저자작성)
목차
저자/역자소개
PPT/도서자료
※ 책 요약 준비 중
책소개
책요약(저자작성)
목차
저자/역자소개
PPT/도서자료
차례
3판 머리말
2판 머리말
1판 머리말
제1장 이상심리학의 기초
1. 이상심리를 판별하는 기준
2. 이상심리의 역사와 현대의 흐름
3. 이상심리학의 주요 주제
4. 이상심리를 설명하는 모델과 치료적 개입
5. 이상행동의 분류 및 진단 체계
6. 정신장애의 공식 진단 분류 체계
제13장 이상심리의 최신 동향
1. 성격장애에 대한 대안적인 모델
2. 임상적 관심의 초점이 될 수 있는 기타 상태
3. 추가 연구가 필요한 진단
4. 이상심리의 예방: 지역사회 정신건강
5. 이상심리와 법적인 문제
6. 새로운 심리치료: 사이버 상담 및 원격 심리상담
7. 이상심리에 대한 초진단적 접근과 정신병리에 대한 계층적 분류법
참고문헌
찾아보기
책소개
책요약(저자작성)
목차
저자/역자소개
PPT/도서자료
로그인을 하신 이후에 이용이 가능합니다.
책소개
책요약(저자작성)
목차
저자/역자소개
PPT/도서자료
로그인을 하신 이후에 이용이 가능합니다.
※ 강의자료는 해당 교재로 강의하는 교강사에 한하여 이용할 수 있습니다. 본 강의자료를 수강생 등 타인에게 공유하거나 배포하는 경우, 저작권법 제136조에 의하여 처벌받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