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은 인간 중심 돌봄의 절차 내에서 언어재활사의 역할을 포괄적으로 조망하면서도 다양한 중재 상황, 질환의 진행 단계, 각 참여 주체와 관계 등에 따른 전문적 및 지원적 요구를 면밀히 검토한다. 즉 삶의 질을 제고하는 인간 중심적 접근에 부합하는 언어재활사의 역할과 기능을 다각적으로 제시한다. 이를 국내에 소개하고 인지-의사소통 관련 임상과 연구의 저변을 확대하는 데 기여하고자 번역 작업에 착수하게 되었다. 치매 및 인지-의사소통에 대한 전반적인 개요는 1~3장에서 살펴본다. 치매의 인지-의사소통 및 삼킴, 행동, 참여 등을 위한 임상적 접근은 4~8장에 제시된다. 간병인 훈련 시 언어재활사의 역할은 9~10장, 삶의 질 및 생애 말기 쟁점은 11장에서 각각 논의된다. 이 책은 인지-의사소통장애를 직접적으로 다루는 임상 현장뿐 아니라 증거 기반적 지침이 필요하거나 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분야에서도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나아가, 치매 환자의 돌봄에 관여하는 다양한 전문가들에게도 매우 실용적인 지침서가 될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