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책은 단순히 평가 안내서가 아닌 전문서로서 기획된 만큼 장 구성에서 별도로 서장과 결장을 두어 서장에서는 ‘대학평가의 의미와 동향’에 대해 심도 있게 다루었고, 결장에서는 ‘한국 대학평가의 미래’에 대해 숙고한 결과를 아이디어로 제시하였다. 서장에서는 평가의 다양한 의미와 변천을 통해 대학평가의 개념과 특성을 살펴보았고, 우리나라 대학평가의 현주소를 냉철하게 밝히고자 하였다. 그리고 한국의 대학평가 동향을 살펴보면서 이 책의 대학평가 분류 방식을 소개하였다. 결장에서는 우선 한국 대학의 위기론 비등에 따라 대학이 나아가야 할 길을 거시적으로 밝히고, 이에 부합하는 미래지향적 대학평가를 위한 제언을 핵심 쟁점 네 가지를 중심으로 제시하였다. 그 쟁점은 ‘① 왜 대학평가를 하는가? ② 대학의 무엇을 평가할 것인가? ③ 어떻게 대학평가를 하나? ④ 대학평가의 선순환적 활용은?’ 등이다. 이 네 가지 핵심 쟁점은 대학평가의 근본적인 이슈로 현 수준에서 이루어지는 평가의 목적과 내용 그리고 방법 및 활용에 대한 반성과 성찰을 통해 미래 환경변화에 부응하는 가운데 대학의 자율적 의지의 복원에 따른 미래지향적 대학평가의 모습을 상정할 수 있도록 그려진다.
|